1️⃣ 올포랜드(연안빅데이터플랫폼) 문제

<aside> 💡 선박융합데이터, 어선융합데이터, 연안해역 선박공간 분포에 따른 밀도 데이터, 선박안전 단기해양환경재현정보를 사용하여 해양환경 상태(일반/위험/특이 해양기상)에 따라 주요 해역의 선박별 통행량 및 입출항 선박의 특성을 분석해 보자.

</aside>

<aside> 📌 연안빅데이터플랫폼에 있는 아래 데이터 활용(추가 자료 활용 가능)

  1. 국내 연안 AIS 관측망 자료를 이용한 연안해역 선박공간 분포에 따른 밀도 데이터
  2. 서해권,남해권,동해권,전국 선박융합데이터
  3. 어선융합데이터
  4. 선박안전 단기해양환경재현정보 전국(분석용) ※ 개별 보유 데이터 및 공공데이터플랫폼 등 외부 데이터를 혼용하여도 사용하여도 무방하나 반드시 위에 언급된 4개 데이터 중 1개 이상의 데이터가 사용되어야 함

</aside>

🎯 문제 배경 및 참고

지난 5년간(2018~2022) 연평균 선박* 충돌사고가 5백여 건에 달하고, 선박 충돌 사고로 인한 사상자도 지난 5년 전체 해양사고 사상자(2천479명)의 31.5%(782명)를 차지합니다. 해양 선박 사고 발생 시 대형 피해 사고로 이어지며, 이에 따른 해양 교통 관리를 통해 선박의 안정성 확보가 필수적입니다. 우리나라는 해양기상환경의 일변화가 크며 소형선박일수록 해양환경에 따른 위험도가 증가하며 선박 충돌의 경우 해역별 통행량과의 관계성이 매우 중요합니다. 우리나라 주요해역별 해양환경과 해역별 선박밀도 및 이동량과의 관계성을 분석하면 사고를 분석하고 예방하는데 활용될 수 있지 않을까요? ※참고자료 <선박 밀집도에 따른 주요 해역 선정, 주요해역에서의 선박밀집도와 해양기상환경의 상관성 분석>

Untitled

Untitled

🎯 지정데이터

연안빅데이터 플랫폼 내 데이터 https://www.bigdata-coast.kr/main.do ****1) 국내 연안 AIS 관측망 자료를 이용한 연안해역 선박공간 분포에 따른 밀도 데이터

  1. 서해권,남해권,동해권,전국 선박융합데이터
  2. 어선융합데이터
  3. 선박안전 단기해양환경재현정보 전국(분석용)

❗연안빅데이터 플랫폼 가입 후 데이터 다운로드 시 활용할 수 있는 쿠폰을 발급해 드립니다. 경진대회 채널 1:1 상담하기에서 요청해주세요. (채널 바로가기) 아래 정보를 작성해 주시면 영업일 1~2일 이내에 쿠폰을 발급해 드립니다.

연안빅데이터플랫폼 데이터 요청 서식.xlsx

데이터요청 안내.png

References

<관련 논문>

선박 분포 예측을 위한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_제주도 북부 해역을 대상으로.pdf

선속과 해양기상이 선박 연료소모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선 실험 해석.pdf

연안해역내해양사고유형별사고요인분석.pdf

통항선박의점용영역밀집도분석을통한해상교통혼잡도평가개선에관한연구.pdf

‼ 본 문제를 선택하여 결과물을 제출하는 팀은 결과제출 시 아래와 같이 사사문구를 삽입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연구는 R&D Project 2024년도 해양수산부 재원으로 해양수산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RS-2021-KS211507/PMS5950, 1MW급 해양 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운항 정보 및 신뢰성 검증 기술 개발)]


2️⃣인하대학교(연안빅데이터플랫폼) 문제

<aside> 💡 조석주기의 공간 유속 자료 및 해수 물성 데이터를 활용하여, 인천 남항에 위치한 신국제 여객부두의 항만 퇴적에 대해 알아보자

</aside>

<aside> 📌 지정 데이터세트 활용(추가 자료 활용 가능)

  1. 조석 주기의 공간 유속 자료(시간, 수심, 위도, 경도, 유향, 유속)
  2. 조석 주기의 공간 해수 물성(수온, 염분, 부유사 농도) 자료 </aside>

🎯 문제 배경 및 참고

인천 신국제여객부두는 왜 퇴적 문제가 심각할까요? 공간적인 유속과 부유사 데이터를 이용해 퇴적 기작에 대한 분석을 수행하고, 향후 어떤 현상이 발생할지에 대해 예측해 봅시다. 제공된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 항만의 퇴적 기작에 대해 분석해 보고, 해양 물리 환경의 변화(여름, 겨울, 장마 기간, 태풍 등)가 퇴적 문제에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예상해 봅시다. 이런 분석을 통해 항만 퇴적 문제를 더 잘 이해하고, 효과적인 관리 방안을 마련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여러분은 이러한 데이터를 가지고 어떻게 분석하실 건가요? **※참고자료

  1. 수심 자료 인천 신국제 여객부두에 실제로 퇴적이 어느정도 진행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9년 6월 조사(해양조사원)과 2019년 12월 조사(인하대학교)를 통해 6개월 동안 수심차이를 계산하여 아래와 같이 나타내었습니다. 붉은색 부분이 퇴적이 진행된 영역이며, 파란색 부분이 침식이 진행된 영역입니다.**

Untitled

Untitled

Untitled

🎯 지정데이터

①2020년과 2023년 데이터세트

201019_T01.zip

231101_T01.zip

References http://m.kyeongin.com/view.php?key=20240207010000653 http://m.biz-m.kr/view.php?key=20190312010004560


문제3️⃣해양기후예측센터(태풍) 문제

<aside> 💡 태풍 정보 및 해양의 상태를 고려해 태풍 통과 후 하루 뒤의 해수면 온도를 예측하는 모형을 제시하시오. (힌트: 태풍에 의한 해수면냉각은 태풍의 강도, 이동속도, 크기 그리고 태풍 통과 전 해양의 수온 및 밀도의 연직구조 등에 의해 결정 됩니다.)

</aside>

<aside> 📌 지정 데이터세트 활용(추가 자료 활용 가능)

  1. 해수면고도
  2. 해수면온도
  3. 3차원해양자료 </aside>

🎯 문제 배경 및 참고

태풍은 발달에 필요한 에너지 대부분을 따뜻한 해양으로부터 엔탈피 플럭스 형태로 얻으며, 바람 응력을 통해 해양으로 운동량을 전달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한 해류 시어에 의해 해수는 연직으로 혼합됩니다. 또한, 태풍 중심에서 바깥쪽으로 이동하는 해수의 이류는 용승을 일으켜 해수면 냉각을 강화합니다. 이로 인해 냉각된 해수면은 태풍으로 전달되는 엔탈피 플럭스를 약화 시켜 태풍의 발달을 억제합니다. 따라서 태풍으로 인한 해수면 냉각 과정을 정확하게 예측하는 것은 태풍의 발달 예측에 있어 매우 중요합니다.

🎯 지정데이터

태풍정보 자료

https://www.ncei.noaa.gov/products/international-best-track-archive

해양정보 자료

https://cds.climate.copernicus.eu/cdsapp#!/dataset/satellite-sea-level-global?tab=overview

https://www.ncei.noaa.gov/access/metadata/landing-page/bin/iso?id=gov.noaa.nodc:GHRSST-JPL_OUROCEAN-L4UHfnd-GLOB-G1SST

https://tds.hycom.org/thredds/catalog.html

https://data.marine.copernicus.eu/product/GLOBAL_MULTIYEAR_PHY_001_030/description

‼ 본 문제를 선택하여 결과물을 제출하는 팀은 결과제출 시 아래와 같이 사사문구를 삽입해주시기 바랍니다. [이 연구 2022년 해양수산부 재원으로 한국해양과학기술진흥원의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북서태평양 온난화 진단 및 한반도 영향 태풍발생·급강화 연구, RS-2022-KS221667)] 영문으로 표기 시[This research was a part of the project titled “Study on Northwestern Pacific warming and genesis and rapid intensification of typhoon”, funded by the Ministry of Oceans and Fisheries, Korea (RS-2022-KS221667)]


4️⃣해양기후예측센터(인도양) 문제

<aside> 💡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2024년 5월부터 2025년4월까지 SCTR(Seychelles-Chagos Thermocline Ridge) 지역 수온약층 깊이를 예측해 보자.

</aside>

<aside> 📌 지정데이터 세트와 다양한 자료 활용

🎯 문제 배경 및 참고

SCTR(Seychelles–Chagos Thermocline Ridge) 지역은 5–15°S 와 50–80°E에 위치한 열대 남인도양의 용승 지역으로, 평균 30미터 가량의 얕은 혼합층과 상대적으로 얕은 수온약층의 특성을 보입니다. 이 지역의 수온약층 깊이(섭씨 20도 등온선)의 변화는 해당 지역 바람응력 패턴에 의해서 나타나고, 아주 먼 거리의 기후변동성에 의해 영향을 받기도 하여 해마다 큰 경년변동성을 보입니다. 이 지역의 경년변동성은 인도 지역 몬순 변동은 물론 동아시아 기후에도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주어진 문제는 다양한 자료를 활용하여 SCTR 지역 수온약층 깊이 지수를 예측해 보는 것입니다. 1991년 1월부터 2024년 4월까지 SCTR 지역 수온약층 깊이 지수가 주어져 있습니다. 머신러닝 기법 등 통계모형을 활용하고, 이 기간을 훈련기간으로 하여 2024년 5월부터 2025년 4월까지 SCTR 지역 수온약층 깊이 지수를 예측해 봅시다.

Untitled

🎯 지정데이터

지정데이터세트